9월 주택 사업 경기 전망지수 소폭 상승, 지역별 차이 뚜렷

9월 주택사업 경기 전망지수가 전월 대비 소폭 상승했다. 수도권 주택사업 경기는 개선 전망이 우세하지만, 지방은 여전히 악화 전망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9월 주택사업 경기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0.2포인트(p) 오른 86.2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2.2p 하락한 106.1을 기록했는데, 서울은 4.1p(120.0→115.9), 경기는 2.6p(105.1→102.5) 하락했고, 인천은 지난달과 동일하게(100.0) 전망됐다. 지수가 전월 대비 하락했지만, 여전히 기준선(100.0)을 넘기며 개선 전망이 더 크다.
주산연 최덕철 부연구위원은 "금융당국이 9월 예정한 스트레스 DSR 강화와 주택 소유자에 대한 주택담보대출 규제로 은행들의 대출제한 움직임이 시장 전망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며 "전체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지만 수도권 지역 전체가 두달 연속 기준선을 상회하고 있어 향후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비수도권은 세종시를 포함한 광역시지역은 4.3p(83.4→87.7) 상승했고, 도지역은 2.0p(79.6→77.6) 하락했다. 강원이 18.2p(81.8→100.0) 상승해 기준선을 회복한 반면, 경남은 27.1p, 제주는 12.4p 하락하는 등 지역별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 7만1882가구 중 80%가 비수도권에 위치하고 있다. 여전히 미분양 물량 해소 속도가 더디고, 아파트값 하락세도 지속되고 있어 경기 전망이 부정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전국 자재수급 지수는 전월대비 4.9p 상승한 93.7로 나타났다. 자재수급 지수는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됨에 따라 착공물량이 감소해 시멘트, 철근 등 원자재 수요 자체가 감소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자금조달 지수는 전월 대비 7.3p 상승한 85.2로 기록됐다. 미국발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면서 우리나라 역시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에 대한 기대감이 사업자들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
커뮤니티 NEW10
더보기1
궁예_청주인戶 1천을 철원으로 이주시키다 2부

2
궁궐에서 왕의 디저트 맛보실래요?

3
기부로 이어진 따뜻한 마음 나눔, 다시마켓

4
오래된 책들의 메아리

5
오는 9월 1일부터 예금보호 한도 5000만 원→1억 원으로 상향

6
속 편하게 도와주는 천연 소화제 무

7
日·美 공적보험도 인정한 배설처리 로봇 용감한 두 형제 돌봄 시장 숙제 풀다

8
손끝까지 찌르는 고통, 팔꿈치 통증의 숨겨진 진실

9
한탄강따라 절벽길 3.6㎞ 불과 물이 빚어낸 비경 위를 걷다

10
있는 그대로 바라본다는 것
